“소액이라 그냥 넘기셨나요?” – 개인채권, 포기한 돈에서 기회는 시작됩니다, 추신(추심의 신)
⸻
Ⅰ. 서론 – 소액채권의 함정, 그 뒤에 숨은 진짜 기회
채권자에게 ‘소액’이라는 기준은 얼마일까요?
30만 원, 100만 원, 혹은 500만 원.
하지만 실무에서 김팀장님이 자주 접하는 사례는 이렇습니다.
▶ 처음에는 작아 보여서 그냥 넘겼는데,
▶ 어느 순간 채무자가 연락을 끊고 잠적했고,
▶ 시간이 흐르자 수백만 원으로 불어나 있었다는 현실.
더 큰 문제는 채권자가 “이 정도 금액은 그냥 포기하자”고 판단하면서
▶ 시효가 지나거나,
▶ 채무자의 재산을 확보할 기회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는 점입니다.
✔ 소액채권은 단순한 손해가 아닙니다.
✔ 그 안에 숨은 반복거래, 습관적 채무, 또는 전략적 체납일 수 있습니다.
이 글을 통해, 채권자가 ‘작다고 버린 돈’에서 다시 기회를 찾는 방법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.
⸻
Ⅱ. 이론적 배경 – 소액채권이라도 ‘법적 권리’는 동일하다
민법은 채권 금액의 크기에 따라 권리의 효력을 차등 두지 않습니다.
10만 원이든, 1억 원이든, 정당한 채권이라면 법적 권리는 동일합니다.
▶ 민법 제162조(일반채권의 소멸시효)
“채권은 10년간 행사하지 아니하면 소멸시효가 완성한다.”
▶ 민사집행법 제276조(채권압류 및 추심명령)
→ 금액에 상관없이 강제집행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.
결국, 법은 금액이 아닌 채권자의 권리 행사 여부를 기준으로 움직입니다.
✔ 채권자가 적극적으로 움직이면,
✔ 소액채권도 시효를 중단시키고, 회수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.
⸻
Ⅲ. 본론 – 소액채권 추심, 이렇게 접근해야 합니다
김팀장님의 실무 기준으로, 소액채권일수록
▶ 빠른 판단,
▶ 정확한 정보,
▶ 단기 전략이 핵심입니다.
다음의 4단계 구조로 접근합니다.
◉ 1. 채무자의 현 재산 상태 확인
→ 신용정보회사를 통한 조사회보서로 다음 항목 파악 가능:
• 부동산 보유 여부
• 거래은행(계좌는 아님, 은행명 파악 가능)
• 신용점수, 연체이력
• 사업자등록 유무, 거래처 확인 등
✔ 이 정보만으로도 ‘회수 실익’ 여부 판단 가능
◉ 2. 시효 중단 여부 체크
→ 이미 지급명령, 소송 등 진행 이력 있는지 확인
→ 없다면 즉시 내용증명 또는 지급명령 신청으로 시효 중단 조치 필요
◉ 3. 협상 전략 vs 압박 전략 선택
→ 채무자와 연락이 가능한 경우: 원금 분할, 일시 변제 조건 제시
→ 연락이 두절된 경우: 재산조사 → 본안소송 또는 지급명령 → 강제집행
◉ 4. 회수 실익 분석
→ 회수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이 회수금보다 클 경우
: 실익 없음 → 전략적 종결
→ 회수 가능성이 확인될 경우
: 짧은 시한 내 집중 추심
⸻
Ⅳ. 판례 분석 – 소액채권도 정당한 권리로 보호된다
〔사례〕 서울중앙지방법원 2020가소389*** 판결
“채권자가 수차례 요구했음에도 채무자가 고의로 이행을 지연한 경우,
원금 50만 원에 대하여 법정이자 및 위자료 30만 원을 추가로 지급할 책임이 있다.”
→ 법원은 단순 채무불이행이 아니라 ‘악의적 체납’으로 간주
→ 소액이라도 반복적 거절, 잠적, 무대응은 불법행위 책임까지 확장 가능
〔사례〕 대법원 2011.12.22. 선고 2011다43958 판결
“소액채권이더라도 장기 연체와 회피 의도가 명백한 경우
채무자의 신용불량 등재 및 강제집행은 정당하다.”
⸻
Ⅴ. 전략 제언 – 채권자가 취할 수 있는 5단계 실무 대응법
1. 채무자 조회 의뢰
→ 신용정보회사 활용: 부동산, 거래은행, 거래처, 실소유 사업장 등 확인
2. 시효 중단 조치
→ 지급명령 또는 내용증명 발송
→ 향후 10년간 권리 행사 가능 상태 확보
3. 변제 요구 전략 설정
→ 전화 협상, 문자 통보, 이메일 변제 제안 등 다채널 접근
4. 소송 또는 강제집행 준비
→ 원금 대비 회수 가능성 높다면, 간이소송 또는 추심명령 활용
5. 기회비용 검토 후 결정
→ 회수보다 소송비용이 크다면 전략적 종결
→ 단, 시효 중단은 해두고 향후 재산 변동 시 재추심 가능
⸻
Ⅵ. 결론 – ‘작은 돈’도 버리지 마세요. 버려진 채권이 제일 위험합니다
소액이라도
✔ 체납이 반복된다면
✔ 장기화된다면
✔ 채무자가 이를 악용한다면
그건 더 이상 ‘작은 문제’가 아닙니다.
실제 많은 악성 채무자들이
▶ “이 정도는 포기하겠지”라는 심리를 이용해
▶ 습관적으로 채무를 회피하고 있습니다.
김팀장님의 전략은 단순히 돈을 받는 것이 아닙니다.
▶ 시효를 멈추고
▶ 정보를 모으고
▶ 타이밍을 계산하고
▶ 실익이 생기는 순간 정확하게 움직이는 것입니다.
소액이든 대액이든,
채권은 권리입니다.
그 권리를 지키는 채권자가 결국 이깁니다.
⸻
▢ 김팀장 약력
• 25년 경력의 채권추심 전문가
• 2006년 국가공인신용관리사 합격
• 법적 절차 및 강제집행 전문 (전문가 협업 체계)
• 고려신용정보 (2004~2025 작성 기준) 22년 근무
• 전국 추심 팀장으로 직접 수천 건의 대금 회수 성공 경험
▢ 상담 안내
• 전화콜 : 1661-7967
• 이메일 : kwc983@gmail.com
• 블로그 : 추신(추심의 신)
• 유튜브 : 추신(추심의 신)
→ 유튜브 구독자분께는 더 많은 정보와 혜택이 제공됩니다
▢ 저작권 문구
본 자료는 추신(추심의 신)에서 직접 연구하고, 풍부한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한 자료로, 저작권은 추신(추심의 신)에 있습니다.
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하며, 본 자료는 참고용으로만 활용하고, 개별 사안에 대한 법적 판단은 전문가와 상담 후 진행하기 바랍니다.
▢ 채권자 유도 마무리 문구
채무자 재산 조사·조회, 채권추심이 필요한 채권자는 편하게 노크하세요!

'채권추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신용정보사와 계약하기 전, 반드시 알아야 할 채권 회수 전략 (2) | 2025.04.01 |
---|---|
미수금 회수, 바로 실행 가능한 4단계 전략 (2) | 2025.03.31 |
떼인 돈 받아드립니다 – 단, 가장 효과적인 타이밍부터 계산합니다 (0) | 2025.03.31 |
못 받은 돈, 포기하지 마세요 (0) | 2025.03.30 |
신용정보회사와 계약된 개인채권, 회수율을 높이기 위한 실전 전략 (2) | 2025.03.28 |